티스토리 모바일웹 스킨 ON,OFF 기능 정확히 사용하기
얼마전에 반강제적(?)으로 바꾸게된 티스토리용 SKELETON 스킨..며칠 지나지 않았지만 어느 정도 적응이 되어가고 있긴 합니다.
아직 수정하고 싶은 부위를 마음대로 바꾸지 못해서 그 점이 좀 아쉽긴 하지만요 ㅎㅎ 지난 번에 SKELETON스킨을 티스토리 블로그에 적용할때 한가지 빼먹은 점이 있어서 이렇게 포스팅을 합니다.
티스토리에는 기본적으로 모바일웹 스킨이 제공되고 있는데요..이 스킨을 블로그 운영자가 직접 사용유무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바로 티스토리 모바일웹 스킨 ON,OFF 기능인데~ 이 기능을 ON을 하느냐 OFF를 하느냐에 따라 모바일 페이지가 방문자들에게 어떻게 보여지느냐가 결정된다는 사실이 중요해요~
티스토리 모바일웹 스킨의 적용과 편집을 하려면 먼저 티스토리 관리자 모드- 꾸미기 메뉴 중간에 '모바일웹 스킨'메뉴로 들어가야 합니다.
언젠가 티스토리에서도 '웹반응형 스킨'이 공식적으로 제공된다면 이러한 모바일웹스킨 자체가 무의미해질테죠^^
아무튼 현재로선 솔직히 이 모바일 스킨을 블로그 주인이 마음대로 편집할 수 없고 티스토리에서 제공해주는 기능 그대로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마음에 썩 들진 않네요~
티스토리 '모바일웹 스킨'메뉴로 들어가게 되면 오른쪽 상단에 모바일웹 스킨 ON,OFF버튼이 보이는 걸 확인할 수가 있어요~
티스토리 모바일웹 스킨 ON,OFF 기능 정확히 사용하기
이게 원래는 없던 기능인데 몇달전에 새롭게 추가되었던 걸로 기억되네요. 설명에 나와있는 것처럼 모바일웹 스킨을 ON으로 설정하게되면 모바일에서 블로그 접속시, 자동으로 모바일웹 스킨으로 전환됩니다.
만약 웹반응형 스킨이 아니라 일반 티스토리 블로그 스킨을 사용중이라면..
모바일웹 스킨을 OFF로 설정할 경우..컴퓨터로 접속해도.. 스마트기기로 접속을 해도..모두 PC웹화면으로 나타나게 되니까 꼭 알아둬야 하는 부분이에요~
상식적으로 생각하더라도..스마트기기 처럼 작은 화면으로 접속하게 되면 모바일용이 훨씬 낫겠죠? PC웹화면이 보이면 화면이 너무 작아보이기 때문에 방문자가 이탈하게될 확률이 그만큼 커지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일반 티스토리 블로그 스킨을 쓴다면 모바일웹 스킨은 항상 ON으로 설정해두세요^^
왼쪽에 보이는 것이 티스토리에서 제공되는 모바일 웹스킨 화면이구요.. 오른쪽은 지금의 SKELETON 반응형 스킨의 모바일 화면입니다.
위에 설명했던 것과 정반대로 웹반응형 블로그 스킨 사용자라면 어떨까요?
말그대로 웹반응형 블로그 스킨이기때문에 화면사이즈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웹스킨이 반응을 해서 그 화면에 맞춰서 줄어들고 늘어나게 됩니다.
만약 티스토리 웹반응형 스킨을 ON으로 설정한다면...웹반응형 블로그 스킨을 쓰더라도 당연히 티스토리에서 제공되는 모바일 스킨이 노출이 되겠죠~
그래서 웹반응형 블로그 스킨 사용자는 이 기능을 OFF로 설정해둬야 해요~웹반응형 블로그 스킨으로 변경했으니 방문자들이 제대로 경험하게 하려면 당연히 그렇게 해야합니다.
이상 티스토리 모바일웹 스킨 ON,OFF 기능 정확히 사용하기에 관한 포스팅이었어요~
티스토리 모바일웹은 반응형 스킨을 써도 노출된다
이미 아시는 분들은 다 알고 계시겠지만.. 티스토리 모바일웹은 참 이상하다. 분명히 반응형 스킨을 사용하도록 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바일웹'은 그대로 노출되고 있다. 왜 그럴까? 예전과
gong6587.tistory.com
티스토리 블로그 인기글 조회방법
오래전에는.. 티스토리 서비스중에 그 블로그의 인기글만 모아서 보여주는 위젯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런 플러그인 조차도 없다. 만약 반응형 스킨이 아니라면, 스마트폰에서는 티스토리 '모바
gong6587.tistory.com
티스토리 모바일페이지 '실시간이슈' 감추기
최근 몇년전 부터 스마트 기기가 보급화되고 모바일 웹페이지로 블로그에 접속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도 마찬가지로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의 SNS를 통해서 유입하는
gong6587.tistory.com
티스토리 블로그 모바일 페이지 오류발생!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서핑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블로그에도 모바일 페이지가 자연스럽게 도입된지도 벌써 몇년이 흘렸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거들은 잘 알겠지만 여전히 티스토리는
gong6587.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