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지혜/각종 생활정보486

본인부담금환급금 조회 신청방법

주기적으로 다니는 병원 진료를 받았더니, 갑자기 병원비가 비싸졌다는 생각을 해보신 분들 많으시죠? 병원에서 혹시 실수를 했거나 추가로 진료받은 항목이 있어서 그런가? 확인하고 싶어도 환자 입장에서는 물어보기가 조금 그렇더라고요. 하지만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직접 문의하거나 검색하지 않더라도 과다 진료비 청구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본인부담금 환급금' 제도가 있어요. 이 글은 '본인부담금환급금'에 대한 설명과 조회 및 신청 방법에 관한 내용입니다. 👉︎실시간 본인부담금환급금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본인부담금환급금'이란? 요양기관(병원, 약국 등)에 청구한 진료비를 심사평가원에서 심사한 결과, 법령 기준을 초과해서 과다 납부되었음이 확인된 경우, 착오로 더 받은 '본인부담금'을 공단이 요양기관에 지급할 진.. 생활의 지혜/각종 생활정보 2023. 1. 25.

수도요금 조회 홈페이지 확인

수도요금 조회는 '한국수자원공사(K-water)'에서 담당하고 있는데요~ 일부 지방상수도 지차제에서는 K-water에 수탁 경영을 하고 있기도 합니다.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한 수도요금 조회는 기본적으로 '고객번호'와 '고객명'을 명확하게 알고 있어야 가능하고요. 보다 상세한 내역을 조회하려면 '인증'절차가 필수입니다. K-water의 고객 수도요금 조회 페이지 화면입니다. '고지서'에 있는 고객번호(수용가 번호)와 고객명을 입력하고 '확인' 버튼만 누르면.. 내가 원하는 기간 내 수도요금이 얼마인지 월별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K-water 수도요금 조회 또 다른 수도요금 조회 방법은 '지방상수도 포털' 페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이에요. K-water 홈페이지와는 다르게 보다 상세한 내역을 확인할 .. 생활의 지혜/각종 생활정보 2023. 1. 17.

퀵서비스, 대리운전기사 고용보험 확인

예전부터 '퀵서비스'나 '대리운전기사'들은 고용보험에 전혀 가입할 수 없었습니다. 분명히 누군가의 소중한 자식들이고 가장일 수도 있는데.. '보험'없이 위험한 운전을 계속하고 있다니 앞뒤가 맞지 않는 현실에 화가 나더라고요. 그래서 일하는 도중에 불의의 사고를 당하거나 실업자가 되어도 아무런 혜택조차 받지 못한다는 가슴 아픈 사실들을 언론을 통해 수차례 보도된 바 있었죠. 게다가 지난 2년 이상.. 코로나19 때분에 배달 서비스 업무가 폭증했습니다. 사고율도 덩달아 높아졌고요. 그래서 결국, 지난 2022년 1월 1일부터 퀵서비스, 대리운전기사도 고용보험에 가입할 수 있게 법이 개정되었습니다. ※이 보험은 '특수형태 근로종사자' 고용보험(플랫폼 노무제공자)에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적용대상 *퀵서비스를 .. 생활의 지혜/각종 생활정보 2023. 1. 12.

중부내륙 고속도로 휴게소 편의시설 조회

고속도로를 통해 장거리 운전을 하게 되면, '휴게소'는 필수로 거쳐야 합니다. 그런데 긴급한 일이 생길 경우.. 내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휴게소에 들어가야 하는데요. 그곳에 어떤 편의시설이 있는지 미리 알고 있다면 그 휴게소만 찾아가면 되니까 같은 경로에 있더라도 휴게소가 보인다고 무조건 들어갈 필요가 없습니다. 여기서는 '중부내륙 고속도로' 기준으로 휴게소 편의시설 조회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릴게요. 다른 휴게소도 같은 방법으로 조회하시면 되고요~ 한국도로공사에서 제공하는 '고속도로 공공데이터 포털'이라는 사이트에서 쉽게 확인이 가능한데요~ 물론 아주 상세하게 나오지는 않지만 생각보다 많은 도움이 됩니다. 회원가입이나 로그인 과정은 전혀 필요 없고요. 상단에 보이는 '데이터 조회 - 휴게소'를 클릭하세요... 생활의 지혜/각종 생활정보 2023. 1. 12.

넷플릭스 요금조회, 요금제 변경, 해지방법

전 세계 시청자가 가장 많다는 OTT서비스의 대표주자 '넷플릭스'~ 평소에 보시는 분들 많으시죠?그런데 OTT서비스가 정말 다양해지다 보니.. 가입자수의 정체 때문일까요? 은근슬쩍 요금을 올리기 시작하더라고요. 평소에 '자동결제'를 하고 계신분들은 무조건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부가세가 포함된 12,000원짜리 스탠다드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2022년 2월부터 13,500원으로 인상되었죠. 이게 1년이라면? 12x 13,500 = 162,000원입니다. 즉, 년간 18,000원을 더 내야 하는 셈이죠. 생각보다 비싸죠? 더 좋은 화질을 제공하는 프리미엄 요금제는 월 17,000원이라네요. 가입자 본인의 요금제 정보를 정확히 알아보시고~ 해지 또는 요금제 변경이 필요하다면, 포털사이트.. 생활의 지혜/각종 생활정보 2023.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