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지혜735

현대자동차 사양조회 차대번호 필수

차량 수리 때문에 렌트카를 대여하게 되었는데요~ 원래 차보다 등급이 높은 SUV를 제공해주더라고요. 그런데 차량 임대계약서에는 '가솔린'이라고 적혀있었지만..주유구에도 이차가 디젤인지? 가솔린인지 명확하지 않더라고요. 보통은 스티커 등으로 표시가 되어있는데 말이죠.  계약서 내용을 그대로 믿어도 무방하겠지만.. 혹시나 하는 마음에, 현대자동차 사양조회 페이지를 이용해보기로 했습니다. 얼마전에 렌트한 현대자동차 '투싼'입니다. 차에 자동차등록증도 없고.. 이게 몇년식인지 어떤 모델인지 전혀 모르겠더군요. 차량 외관으로 봐서 대략 짐작만 할 뿐^^ 차량 상태는 상당히 괜찮았습니다. 흠집하나 보이지 않을 정도.. 내부도 거의 새 차 수준~ 시동을 걸고 계기판을 확인해보니.. 총 주행거리가 12,300KM정도였.. 생활의 지혜/자동차 다이어리 2025. 2. 6.

한국예탁결제원 통지서 수령거부 신청방법

세상이 급속도로 변해가지만..수년이 지나도 '우편물' 통지서를 보내는 경우가 있죠? 바로 증권회사 주주총회, 배당금 통지서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 많다면 이런 종류의 우편물을 대략 수령하는 경우도 있는데..그런 이유로 주소지를 집이 아닌 회사로 변경해두거나 그런 분들도 많더라고요. (상가에서 퇴거한지 5년 이상 지났음에도 특정인의 우편물이 오는 경우도 심심찮게 목적)  원치않는 우편물 통지서를 거부할 수 있는 곳은 '한국예탁결제원(KSD)' 뿐만 아니라, 증권업무를 대행하는 은행도 존재하기 때문에 별도로 거부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한국예탁결제원 홈페이지에서 제공되는 '통지서 수령거부 신청 서비스'는 지난 2022년 7월부터 시작되었는데요. 그 전에는 전화 또는 방문으로만 수령거부.. 생활의 지혜/경제정보 2024. 10. 25.

미니 컨트리맨 엔진 고장 폐차 후기 금액 비교

아직 10년도 되지 않았는데.. 지난 2016년 부터 운행했던 미니 컨트리맨이 결국 '폐차'했습니다. 부끄럽지만.. 폐차의 이유는 사고도 아닌 '관리 소홀'이었고요. 이 차가 원래 엔진오일을 보충하면서 타야 하는데.. 그 시기를 놓쳤고 엔진오일이 바닥이 난 상태로 고속 주행을 하다보니.. 엔진에 엄청난 무리가 갔던 모양입니다.  이 글은 미니 컨트리맨 엔진 고장으로 인한 실제 폐차 후기와 금액 비교 관련 내용입니다. 비슷한 일을 겪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시라고 장문의 글을 올려봅니다~ 2024년 9월 5일. 주행하다가 엔진이 그냥 멈춰도 이상하지 않을 상태..마치 경운기가 바로 옆에 있는 듯한 극심한 소음이 계속 이어졌습니다. 실제로 이런 상태라면 '엔진 보링 작업'이 필수라고 하네요. (대충 견적을 알아.. 생활의 지혜/자동차 다이어리 2024. 9. 26.

주택 임대차계약 인터넷 신고 방법(임대인)

지자체 임대사업자로 등록된 '임대인'이라면 렌트홈을 통한 '주택 임대차계약 신고'가 의무입니다. 그래서 동사무소를 통한 임대차계약은 의무사항이 아닙니다. 단, 임차인이 전입신고를 하는 과정에서 임대차계약 신고와 확정일자까지 함께 진행되는데..간혹 이 신고가 잘못 처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다보면 확정일자 현황에 내용이 잘못 입력되는 경우가 생기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동사무소 직원이 바뀌면서 업무 인수인계를 제대로 하지 않고 엉뚱한 내용을 넣거나 필수사항을 빼먹는 일도 많으니, 꼭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이 글은 임대인 기준, 주택 임대차계약 인터넷 신고 방법에 관한 내용입니다. 동사무소에 가지 않고도 '부동산거래관리스템'에 접속하시면 인터넷으로 쉽게 주택 임대차계약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임차인, .. 생활의 지혜/각종 생활정보 2024. 9. 13.

주택임대차계약 신고필증 발급하기

지난 2021년 6월 1일부터 시행된 주택임대차 신고제는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는 계도기간을 3년간 운영해 왔는데.. 2024년 6월 1일부터 2025년 5월 31일까지 1년간 또 연장되었다고 합니다. 신고 의무 위반시 과태료가 4만원~100만원정도의 수준이라고 하는데..과도하다는 의견이 많아 과태료를 낮추기 위한 법령 개정도 추진중에 있다고 하네요.  '주택임대차계약 신고필증'은 동사무소에 임대차계약 신고를 하면서 바로 발급받을 수도 있지만, 인터넷을 통해서 얼마든지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의무자는 임대인 또는 임차인 한명만 신고하면 되고요~2021년 6월 이후의 임대차계약건은 모두 해당이 됩니다. (단, 보증금 6천만원 또는 월차임 30만원을 초과하는 주택임대차 계약건) 인터넷을 통한 주택.. 생활의 지혜/각종 생활정보 2024. 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