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지혜735

쏘카 짧은 1시간 이용 2024 셀토스 후기

예전에 제주도에서 쏘카를 사용했던 이후.. 쏘카같은 카쉐어링 서비스를 이용할 일은 앞으로 전혀 없을 거라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세상일은 아무도 모른다고.. 최근에 쏘카를 또 이용하게 되었답니다. 이 글은 쏘카 짧은 1시간 이용 후기입니다. 차도 2024년 신형 셀토스였고요. 집에 차가 2대나 있음에도 집 근처에서 쏘카를 이용한 건 정말 예상하지 못한 일이었죠.  쏘카를 이용했던 조금 황당한 이유 당근마켓에서 로렌이 거래하려던 물건이 아기 자석보드였는데, 웬만한 물건들은 무사히 다 실었던 경험이 있어서.. 이번에도 큰 무리 없이 혼자 싣고 올 수 있을 거라고 믿었죠. 미니 컨트리맨(R60)의 트렁크 내부입니다. 사실.. 내부 폭이나 길이는 전혀~ 문제없는데요. 문제는 바로.. 트렁크 문폭이 좁다는 거였.. 생활의 지혜/자동차 다이어리 2023. 11. 27.

병적증명서 발급 확인할 수 있는 사항들

정부 24에 들어갔다가 병무청 '병적증명서'가 눈에 띄어서 이게 과연 어떤 증명서일까? 어디서 이런 증명서를 요구할까? 하는 호기심이 갑자기 생기더라고요. 이런 증명서 발급이 돈 드는 일도 아니고.. 편하게 인터넷으로 발급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내용이 궁금해서 40대인 저도 증명서를 발급받아보았습니다.  실제로, 병적증명서는 겨우 1장에 불과할 정도로 굉장히 단순한 증명서입니다. 어쩌면..취업이나 승진시 군대를 다녀왔는지 확인하는 차원에서 병적증명서를 요구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병적증명서 인터넷 발급 방법  👉︎병적증명서 바로 발급 정부 24에 본인 인증을 로그인을 한 다음, '병적증명 신청' 화면으로 이동하세요. '성명'과 '생년월일', '주민등록상 주소'는 자동으로 입력되.. 생활의 지혜/각종 생활정보 2023. 6. 27.

전세권말소 접수증, 등기완료통지서 발급하기

무려 5년간 거주한 임차인을 떠나보내기 전에, 전세권 설정을 해지하기로 했습니다. 전세보증금 반환도 법무사 사무실에서 동시에 진행하기로 했고요. 원칙상, 전세권말소시 임대인 도장도 필요하다고 하는데.. 법무사 사무실에서는 일반 막도장으로 처리하는 듯합니다. (임대인 미방문시에는 임차인에서 위임장을 써줘야 함) 돈을 조금 아껴보자는 목적으로 전세권말소를 셀프로 하시는 분들도 많은데요. 법무사를 통하면 수수료는 5만 원 정도입니다. 이런저런 서류준비하고 등기소까지 직접 가야 하는 번거로움을 고려하면 법무사에 의뢰하는 편이 나은 듯~ 전세권말소 접수증을 직접 발급하다. 임차인이 수수료를 지불하면 영수증을 주는데.. 바로 처리하는 게 아니라.. 한꺼번에 모아서 등기소에 가서 처리하기 때문에 반나절~하루 정도는 .. 생활의 지혜 2023. 6. 22.

주택임대사업자 재등록, 임대보증의 모순점

지난 2021년 1월경이었죠~ 정부의 '임대보증보험' 가입의무화로 인해, 기존에 가입하지 않았던 대상 물건도 한꺼번에 다 가입해야 했습니다. 그 당시에 '보증대상 금액이 0원 이하'인 세대들은 '전세권설정미동의'를 제출해서 가입 면제를 받을 수 있었고요. ★임대차계약 기간 (5년) : 2019년 6월 29일 ~ 2024년 6월 29일. 이 세대는 2021년 6월쯤에 '전세금반환보증보험'에 가입한 세대이며, 임대차 만료까지 보증수수료 44만 원을 전액 납부했습니다. 그런데 조만간 이 세대가 '4년 단기임대사업자'가 자동말소될 예정입니다.(2023년 6월 29일) 임대사업자 말소 후 재등록시 모두 '신규'가 됩니다. 말소 자체가 전혀 문제가 되지 않으면 신경 쓸 필요도 없는데요. 세금 관련 문제로, 장기 1.. 생활의 지혜/각종 생활정보 2023. 6. 19.

전세반환보증, 임대보증금보증 명확한 차이점 3가지

임대사업자의 입장에서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임대보증보험'에 대해 신경을 쓰다 보면 어떤 방법이 최선일까? 정말 고민하게 됩니다. 그런데 잘 모르는 분들은 '전세반환보증'과 '임대보증금보증'이 같은 보험이 아니냐? 그게 그거다라고 하시는데요. 물론 임차인의 전세보증금을 보호해 준다는 목적은 똑같습니다. 하지만, 가입대상부터 달라요. 전세반환보증은 '임차인'이 가입하는 보험이고요~ 의무사항이 전혀 아닙니다. 반면에 임대보증금보증은 '임대인'이 가입할 '의무'가 있고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있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 홈페이지에서 비교하시면 조금 복잡할 수도 있으니.. 정말 눈에 띄게 명확한 차이점 3가지만 설명해 드릴게요 (공동주택 기준) 참 이상하게도.. 보증 대상은 똑같지만, 가입 .. 생활의 지혜/각종 생활정보 2023. 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