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폰 긴급재난문자(소방방재청) 없애는 방법

곰가든 2014. 3. 24.

다른 스마트폰도 그런지 모르겠지만..아이폰을 사용하다보면 어느날 정말 뜬금없이 큰 경고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소리도 정말 듣기 싫은 띠~~띠~~ ㅠㅠ 처음에 이게 대체 어디서 나는 소리인가 했는데 아이폰에서 나오는 소리더라구요.

 

 

지금은 여러번 겪어봐서 왜 그런지 알기 때문에 아~짜증나..이 정도의 반응을 보이지만 처음 경험하면 당황할 수 밖에 없습니다.

 

알고봤더니 이게 바로 소방방재청에서 보내오는 긴급재난문자더라구요. 카톡도 아니고 일반문자 메시지도 아니라서 어? 어디서 온거지..아이폰이 미친게 아닌가? 고장인가? 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폰 긴급재난문자(소방방재청) 없애는 방법1

하지만 역시 이런 부분도 알고 나면 정말 간단한 설정하나로 차단할 수 있어요^^

 

일단 그런 짜증스러운 경고음과 함께 아이폰 긴급재난문자가 날아오면 아이폰의 알림센터로 들어가서 확인 및 삭제가 가능합니다. 긴급재난문자라서 그런지 몰라도 '알림'문자로 분류된 모양이에요.

 

아이폰 긴급재난문자(소방방재청) 없애는 방법2

지난번에 포스팅한 내용처럼 아이폰 알림센터는 위에서 아래쪽에서 터치 슬라이드를 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됩니다.

 

아이폰 긴급재난문자(소방방재청) 없애는 방법

 

 

상단 메뉴를 보면 오늘,전체,부재중 알림이 보이는데 이중에서 가운데에 있는 '전체'로 들어가세요.

 

아이폰 긴급재난문자(소방방재청) 없애는 방법3

그러면 지금까지 왔던 아이폰 긴급재난문자들이 모두 보일꺼에요.

 

오른쪽 상단에 보이는 '지우기'를 누르면 쉽게 삭제 처리할 수 있습니다. 긴급재난문자가 알림센터를 통해서 수신된다는 것만 알면 찾아서 확인후 삭제하는 방법은 아주 쉽죠

 

그러면 이렇게 소방방재청에서 보내오는 아이폰 긴급재난문자를 애초에 차단해두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사실 '긴급'상황으로 인해서 보내오는 알림문자는 왠만하면 차단을 안하는 편이 좋지만..

 

알림음의 소리가 너무 사람을 놀라게 만들뿐만아니라 그 자체가 짜증스럽고 듣기싫어서 차단하고 싶은 생각이 많이 드는 것이 사실입니다.

 

아이폰 긴급재난문자(소방방재청) 없애는 방법4

아이폰 긴급재난문자(소방방재청) 없애는 방법은 위와 같습니다.

 

아이폰 설정으로 들어가서 '알림센터'를 찾습니다. 그런 다음에 알림센터 최하단을 보면 '재난문자 방송'이라는 부분이 보일꺼에요.

 

바로 이부분의 수신설정을 on,off 함에 따라서 긴급재난문자의 수신여부가 결정되는 거죠^^

 

알고나니 정말 간단하죠? 소리만 듣기 좋은 알림음으로 바꿔주면 참 좋을텐데 그 점때문에 저도 수신설정은 off해서 사용중이에요.

 

✅아이폰 미모티콘 사용방법

 

아이폰 미모티콘 사용방법

아이폰의 '미모티콘' 기능 알고 계신가요? 저도 처음엔 오타가 아닌가 했는데.. 실제로 그런 기능이 있습니다. 지난 2018년 ios 12부터 추가된 신기능이라고 하는데, 정말 뒤늦게 알았네요. 그도 그

gong6587.tistory.com

✅아이폰 화면 녹화 방법(기록 버튼 활성화 하기)

 

아이폰 화면 녹화 방법(기록 버튼 활성화 하기)

평상시에 자신의 '아이폰'을 꼼꼼하게 사용해본 적이 없다면, 그 속에 숨겨진 다양한 기능들의 존재조차 전혀 모른채 계속 살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오래전에 ios11 업데이트 이후, '화면 녹화

gong6587.tistory.com

✅아이폰앱 업데이트 할 때, 주의사항

 

아이폰앱 업데이트 할 때, 주의사항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다면 설치된 앱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경우가 많다. 단순하게 아이튠즈 계정으로 로그인한 상태에서 '업데이트' 버튼만 누르면 자동적으로 업

gong6587.tistory.com

✅아이폰 알람 설정방법과 몇 가지 팁

 

아이폰 알람 설정방법과 몇 가지 팁

아이폰 같은 스마트폰이 아니더라도 오래전부터 휴대전화를 사용해왔다면 누구나 자주 쓰는 기능 중 하나가 바로 '알람'기능이다. 나 역시도 주말이나 휴일이 아닌 경우는 늘 똑같은 시간에 아

gong6587.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