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번호로 내가 가입한 사이트 조회하는 방법
인터넷 문화가 급속도로 우리 생활속에 자리잡게 되면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던 것이 바로 '개인정보'유출로 인한 피해들이다.
이제는 거의 필수품이 되어버린 스마트폰도 거기에 한몫을 하고 있기도 한데..주민번호를 이용한 사이트 가입이 지금은 금지되었지만, 상상을 초월하는 변종 수법으로 개인정보를 빼내가는 황당한 사건들도 많더라.
사실 내가 가입한 사이트 조회를 할 수 있는 방법은 아주 단순하고 쉽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홈페이지로 접속해서 주민번호 클린센터를 이용하면 된다. 그런데 아니러니하게도 조회를 하기 위해서는 내 주민번호를 입력하고 개인정보 동의를 해야한다는 점이다.
위 화면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홈페이지 첫 화면이다. 좌측에 보면 몇몇 '센터'라는 이름이 보이는데 여기서 주민번호 클린센터를 클릭해주면 된다.
KISA 한국인터넷진흥원
www.kisa.or.kr
주민번호 클린센터의 첫페이지..가운데 보면 이용내역확인 바로가기 버튼이 보인다~ 여기를 클릭!
그러면 바로 개인정보 등의 '동의'를 요구하는 목록들이 나타나는데..단 하나라도 '동의함' 체크를 하지 않으면 이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여전히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긴 하지만..어딜가나 마찬가지라는 ㅠㅠ
위에서도 이야기 했지만..내가 가입한 사이트 조회를 하려면 내 이름과 주민번호 입력이 '필수'이다. 서울신용평가정보(주)를 통해서 본인확인이 진행되고 실명인증의 목적으로만 사용된다고 한다.
주민번호로 내가 가입한 사이트 조회하는 방법
본인을 인증하는 방법은 총 4가지가 있다. 공공 아이핀을 비롯해서 휴대폰, 신용카드..그리고 공인인증서~
이중에서 가장 손쉽게 인증할 수 있는 방법은 아무래도 휴대폰이 아닐까? 본인인증 수단을 선택 체크를 했다면 '확인'버튼을 눌러준다.
그러면 위와 같이 4곳의 신용평가정보 회사에서 조회된 내가 가입한 사이트 숫자를 확인할 수 있는데..코리아크레딧뷰로라는 곳에서 7건이 검색이 되더라.
클릭하면 주민번호 이용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데..한달에 3번만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실제 주민번호로 내가 가입한 사이트 조회 목록들이다.
모두 회원가입 목적으로 사용되었다고 하는데..그 중에는 회원탈회로 사용된 것도 있더라. 그런데 설마 이것 밖에 없나? 하는 의심이 들기도.. 아무튼 이정도의 조회는 가능하다는 사실만 알면 될 것 같다.
호기심에.. 숫자가 0건인 신용평가 정보회사를 클릭해봤더니, 실명인증, 게시판 이용을 하면서 사용된 사이트들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더라.
아마도 사이트에 가입할 때 주민번호를 사용했을 때만 '회원가입'이라고 명시가 되고 숫자로 건수가 기록되는 모양이다. 그런데 실명인증 내역을 보니까..듣보잡 사이트도 상당히 많더라는 ㅠㅠ
내가 가입한 사이트 조회후 검색된 곳들의 회원탈퇴 요청은 본인이 해당 웹사이트에 직접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클린센터를 통해 탈퇴요청을 하는 경우 웹사이트 관리자가 거부하거나 지연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만약에 명의도용으로 인한 가입이 의심된다면, 피해사실 입증 자료를 확보해서 경찰청 사이버 테러 대응센터에 신고 수사 의뢰하는 것이 좋을 듯..
주민등록번호 도용확인 (프라이버시 클린)
최근에도 '주민등록번호' 도용확인 하는 분들이 상당히 많은데요~ 지난 수년 전부터 주민등록번호 도용확인을 하는 이유는 인터넷 명의도용을 통한 각종 사건 발생 등.. 그 심각성이 사회적 문
gong6587.tistory.com
주민세 조회 납부하기(기업은행 인터넷뱅킹)
작년에 고지서를 받지못해서 8월에 납부해야할 주민세를 체납했다가 11월에 납부했던 적이 있습니다. 다행히 올해는 고지서가 집으로 날아왔군요~ 사실 고지서를 받고 안받고를 떠나서 공인인
gong6587.tistory.com
✅명의도용방지서비스(Msafer)! 나몰래 가입되는 통신서비스 피해예방
명의도용방지서비스(Msafer)! 나몰래 가입되는 통신서비스 피해예방
어느날 갑자기 내가 가입하지도 않는 통신사 요금이 청구된다면? 정말 어처구니없고 황당하고 화가 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영화에서나 있는 일이고~나와는 관계없는 일이라고 생각할지도
gong6587.tistory.com
✅삼성카드 id secure(종합정보보호서비스)해지하기
삼성카드 id secure(종합정보보호서비스)해지하기
최근 몇년전부터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가 제공되는 사이트들이 많이 생겨났는데..이런 서비스가 삼성카드에도 있었다는 사실을 뒤늦게서야 알게되었습니다. 몇년전에 삼성카드 직원과 상담하
gong6587.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