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지혜/각종 생활정보486

전월세 신고 여부 확인방법(주택임대차 계약)

지자체에 등록된 '주택임대사업자'가 아니라면, 부동산 임대 계약 후 전월세 신고(주택임대차 계약)를 해야 합니다. 계도기간이 2022년 5월 31일까지였는데요.. 또 1년이 연장되어 2023년 5월 31일까지입니다. 이 제도에 대해 워낙 모르는 분들이 많아서 그렇겠죠. 전월세 신고 대상은 보증금 6천만 원 이상 또는 월세 3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되는데.. 계약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 신고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최대 100만 원 과태료 부과됩니다. 이 글에서는 전월세 신고 여부 확인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려고 해요. 전월세 신고(주택임대차 계약신고)는 가까운 동, 읍 사무소에 직접 방문해서도 가능하지만.. 인터넷으로도 할 수 있습니다. 바로 '부동산 거래 관리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인데요. 실시간.. 생활의 지혜/각종 생활정보 2022. 12. 6.

임대차계약 묵시적갱신 신고방법

주택임대사업자가 놓치기 쉬운 내용 중 하나가 바로 임대차계약 묵시적갱신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묵시적 갱신'은 기존 계약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또 신고할 필요 없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묵시적 갱신도 임대차계약 '변경신고' 대상이구요. 만약 신고를 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물 수가 있으니 반드시 신경 쓰야 하는 부분입니다. 이 글은 임대차계약 묵시적갱신 신고방법에 관한 내용입니다. 먼저, '렌트홈' 홈페이지에 접속하세요~ 렌트홈(임대등록시스템) www.renthome.go.kr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46조(임대차계약 신고) 1항을 참고하시면, "임대차 계약을 변경한 날부터 3개월(90일) 이내에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신고 또는 변경신고를 하여야 한다"라고.. 생활의 지혜/각종 생활정보 2022. 12. 6.

한글 주소 영문 주소 변환방법(우체국)

해외 직구 사이트를 이용하거나 해외로 어떤 물건을 배송하고자 할 때, 거주하는 한글 주소를 영문 주소로 입력해야 하는 일이 가끔 있죠. 아무래도 한글 그대로 적으면 외국인이 배송 업무 제대로 하기가 어렵겠죠. 영어를 잘하는 분들은 별도의 변환기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하기도 하는데요. 말은 쉽지만.. 처음 해보면 잘 모르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한글 주소를 영문 주소로 간단하게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릴게요~ 위에 보이는 화면은 우리에게 너무나 친숙한 '인터넷 우체국'홈페이지입니다. 우체국에서 한글 주소 영문 주소 변환을 무료로 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비슷한 사이트도 있지만.. 그래도 배송 업무와 밀접한 관계가 되어 있기에.. 우체국에서 변환해주는 영문 주소가 제일 정확합.. 생활의 지혜/각종 생활정보 2022. 12. 6.

보조금24 몰랐던 정부 혜택 조회

코로나19 때문에 여기저기서 '보조금' 혜택을 받으려는 사람들이 정말 많죠?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실제로 그런 혜택이 있는데 받기 싫은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겁니다. 얼마 전에 '정부 24'라는 사이트를 통해 서류 발급을 하려다가 '보조금 25'의 존재를 우연히 알게 되었는데요~ 개인정보를 통해 조회해보면 의외로 다양한 혜택을 보고 깜짝 놀라실 수 있습니다. 역시 '정보'를 모르고 살면 바보 멍청이가 되는 세상인 것 같아요~ 뭐든지 꼼꼼히 미리 알고 살아야, 세상을 지혜롭게 사는 방법이라 생각되네요. 위 화면은 '정부 24' 홈페이지에 로그인된 화면입니다. 로그인 상태에서 오른쪽 상단을 보면, '누구누구님 일상을 응원합니다~'라는 메시지가 보이시죠? 그 바로 밑을 보시면 '보조금 24 이용 동의하기'라는 .. 생활의 지혜/각종 생활정보 2022. 12. 6.

난임 부부 지원금 지원 대상 신청 방법 확인

난임이란, 결혼한 부부관계에 특이한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최소 1년 이상 자연적 임신을 못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산부인과의 난임 진단을 받으면, 임신을 위한 다양한 시술 등이 필요하기에 경제적인 부담이 따를 수밖에 없죠. 이 글은 난임 부부 지원금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난임 검사의 종류 및 지원금액 난임 진단을 위한 검사는 기본적인 병원 검사 이외의 기초검사, 남성 정액검사, 여성 배란 검사, 난관 및 자궁 상태 검사 등이 있어요. 2022년도 난임 지원금액은 체외수정 또는 인공수정 시술비 가운데 일부 및 전액 본인부담금이 지원되고요~ 비급여인 배아동결비 착상 보조제, 유산방지제에 대한 지원도 해줍니다. 만 45세 이하는 본인 부담률이 30%이고~ 만 45세 이상부터는.. 생활의 지혜/각종 생활정보 2022. 1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