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캐드 '자르기(trim)'기능의 활용!

곰가든 2013. 11. 11.

새롭게 만드는 도면이 아닌 기존 도면을 편집할때 정말 자주 쓰이는 캐드 기능이 바로 '자르기(trim)'기능과 '연장하기(extend)'기능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중에서 '자르기(trim)'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이 기능은 말그대로 선을 잘라주는 기능입니다.


 

기준이 되는 객체를 선택해준 다음 그 객체를 기준으로 붙어있는 선을 클릭해주면 클릭했던 부분이 잘라지는 그런 기능이죠~

 

그래서 기존 도면의 일부분을 수정하고자 할때 아주 유용합니다. 덩달아서 '연장하기(extend)'도 마찬가지로 자르기 기능만큼이나 쓰임새가 많은 기능이에요.

 

이 기능은 캐드 도구막대 모음을 미리 펼쳐둔 상태에서 사용하면 편하지만 그보다는 단축키를 머리속에 암기해두고 사용하면 훨씬 더 편하게 마우스 클릭수를 줄이면서 작업할 수 있죠^^

 

캐드 '자르기(trim)'기능의 단축키는 앞부분에 있는 철자 'tr'입니다.

 

캐드 '자르기(trim)'기능1

예를 들어서 위와 같은 원의 중심에 직각으로 교차된 두개의 선이 있다고 가정하고...이 중에서 선의 일부분을 잘라내려고 한다면??

 

캐드 '자르기(trim)'기능2

미리 꺼내두었던 캐드 도구막대창을 보면 '자르기'라는 기능이 보입니다..그 바로아래에는 '연장하기'기능도 있죠^^

 

그런데 캐드2014에서는 아주 친절하게 자르기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위와같이 팝업창으로 보여주더라구요~

 

캐드 '자르기(trim)'기능의 활용!

 

 

캐드 '자르기(trim)'기능3

자르기 기능에 대한 설명을 그대로 따라해보면...위와 같이 자르고자하는 객체의 경계를 선택해줍니다..경계가 직각이든 뭐든 그런건 전혀 관계없어요~ 선택한 다음에는 'ENTER'버튼을 누르고~~

 

캐드 '자르기(trim)'기능4

자르고자 하는 객체를 마우스로 클릭해주기만 하면 됩니다...'자르기'기능은 선택된 경계를 기준으로 클릭하는 선이 짤리게 되는데 여기서는 왼쪽 선을 짤라보기로 했죠.

 

만약 경계를 기준으로 오른쪽을 선택했으면 오른쪽 선이 잘려나가게 된다는..

 

캐드 '자르기(trim)'기능5

역시 보는바와 같이...경계를 기준으로 왼쪽 선이 잘렸네요. 이런 방법으로 직접 캐드 '자르기(trim)'기능을 활용해보세요~

 

✅캐드 각도 확인과 회전 방법

 

캐드 각도 확인과 회전 방법

이 포스팅은 캐드 초보자들을 위해서, 도면에 그려진 그림의 각도 확인과 그 그림을 내가 원하는 대로 회전하는 방법에 대해서 내용이다. 전혀 캐드를 접해보지 못한 사람이더라도 한 두번만 해

gong6587.tistory.com

✅오토캐드 A4지에 꽉차게 인쇄하는 방법

 

오토캐드 A4지에 꽉차게 인쇄하는 방법

사실..오토캐드 도면을 어디에 제출을 해야한다거나 보여줘야 할때는 최대한 도면이 크게 보여야 하기 때문에..A4용지보다는 A3용지에 인쇄하는 경우가 훨씬 많다. 하지만 도면을 접는 일이 번거

gong6587.tistory.com

✅캐드 도면 옹벽 터파기 그리는 방법

 

캐드 도면 옹벽 터파기 그리는 방법

토목 공사 설계를 하다 보면 새롭게 '옹벽'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제일 먼저 해봐야 하는 것이 캐드 도면상의 위치에 옹벽이 직접 그려보고 터파기를 비롯한 각종 토공 수량을 측정해

gong6587.tistory.com

✅캐드명령어(원이 다각형으로 보일 때 해결하기)

 

캐드명령어(원이 다각형으로 보일 때 해결하기)

정상적으로 캐드 도면을 작성했음에도 불구하고, 도면의 아주 작은 원이나 호 등을 다시 확대해보면 이상하게도..제대로된 모습이 아닌 '다각형'으로 보일 때가 있다. 이런 현상을 접하면 도

gong6587.tistory.com

✅오토캐드 눈금선(grid) 없애기

 

오토캐드 눈금선(grid) 없애기

이 포스팅도 역시 캐드 초보자 분들을 위한 아주 간단한 팁입니다^^ 오토캐드를 실행시키면 내가 원했든 원치않았든..화면에 모눈종이같은 눈금선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오토

gong6587.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