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726 박스 테이프 제거용 올파 터치나이프 후기 코로나 때문에 온라인 물품 구매하시는 분들이 정말 많죠? 그만큼 택배박스를 많이 접하게 되고, 재활용품장에 버려지는 박스도 덩달아 늘어나게 되더라고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종이박스에 부착된 테이프 제거용 칼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일본 제품이고요 '올파(OLFA)'라는 브랜드의 터치나이프는 미니 칼입니다. 사실, 택배박스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테이프가 여간 성가신 게 아니죠. 커터칼이 없을 때는 손으로 뜯기도 하는데.. 확실히 칼로 제거하는 것이 빠르고 깔끔합니다. 기존의 커터칼도 나쁘지 않지만, 그런 커터칼의 불편함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안전성을 더한 제품이 올파 터치나이프입니다. 위 사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손가락 4 개위에 쏙~ 들어오는 작은 사이즈입니다. 겉으로 보면 이게 칼이 맞나? 싶을 정도로 귀.. 러블리102/제품 사용기 2023. 1. 14. 더보기 ›› 부동산 입지 세력권에 대한 다양한 생각 부동산 '입지'가 좋은 곳을 이야기할 때, 어디가 좋다는 말인지? 정확히 그게 어떤 의미인지? 모르는 분들이 상당합니다. 주변에 상권이 좋다거나 학군이 좋거나 혹은 역주변이면 입지가 좋은 걸까요? 예를 들어서, 경남 창원을 기준으로 이야기하면 구창원 원이대로 라인은 입지가 좋고 마산쪽은 입지가 좋지 않을까요? 이건 어디까지나 생각하기 나름입니다. 실제로 부동산을 '투자'로 접근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투자의 최우선은 '입지'라는 마인드가 지배적입니다. 물론 투자 후 결과는 100% 맞출 수는 없겠죠. 반면에, '실거주'로 살고자 하는 사람들의 입장에서의 부동산 입지란... '내가 사는 집' 주변이 입지라는 주장을 하기도 합니다^^ 뭐 틀린 말은 아닙니다. 직접 그 집에 거주도 하면서 역세권이고 학군까지 좋.. 생활의 지혜/경제정보 2023. 1. 14. 더보기 ›› 주민등록번호 도용확인 (프라이버시 클린) 최근에도 '주민등록번호' 도용확인 하는 분들이 상당히 많은데요~ 지난 수년 전부터 주민등록번호 도용확인을 하는 이유는 인터넷 명의도용을 통한 각종 사건 발생 등.. 그 심각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부터였죠. 주민등록번호 도용확인 사이트(프라이버시 클린)에 접속해서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주민등록번호가 도용이 되고 알지도 못하는 엉뚱한 곳에 사용되고 있지는 않는지? 확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요. 주민등록번호 도용확인은 본인 주민등록번호 입력이 필수입니다. 정부에서 운영하는 신뢰도 높은 사이트를 추천드리는데~ 예전에는 '주민등록번호 클린센터'라고 불리던 곳입니다. 꼭 정기적으로 방문해서 주민등록번호 도용확인을 해보세요. 주민등록번호 도용확인을 위한 '프라이버시 클린' 홈페이지입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잡다한 IT 지식 2023. 1. 14. 더보기 ›› 디스크 저장 용량부족 Appdata 정리 해결 요즘 판매하는 대부분의 컴퓨터가 기본 저장 용량이 상당히 넉넉한 편인 반면, 오래전부터 장기간 사용 중인 컴퓨터라면 이야기가 다릅니다. 심지어.. 디스크 저장 용량이 50기가도 채 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까요(물론, 셀프로 용량이 큰 SSD로 교체하는 편이 훨씬 나을 수도 있겠죠) 일단, 디스크 저장 용량이 부족해서 다운로드조차 힘들어진 상황이라면 불필요한 프로그램들을 검색 후 삭제하면서 용량을 늘리는 것이 최선인데요. 그래도 안된다면, 윈도우 'Appdata' 폴더의 용량을 줄여보세요. 예전과 변함없이, 윈도우의 Appdata 폴더는 항상 C드라이브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위 화면을 보세요~ 저는 맥북에 윈도우를 설치해서 부트캠프로 사용 중이고 디스크 저장 용량이 47기가임에도 500메가도 남지 않은 상.. 잡다한 IT 지식 2023. 1. 13. 더보기 ›› 퀵서비스, 대리운전기사 고용보험 확인 예전부터 '퀵서비스'나 '대리운전기사'들은 고용보험에 전혀 가입할 수 없었습니다. 분명히 누군가의 소중한 자식들이고 가장일 수도 있는데.. '보험'없이 위험한 운전을 계속하고 있다니 앞뒤가 맞지 않는 현실에 화가 나더라고요. 그래서 일하는 도중에 불의의 사고를 당하거나 실업자가 되어도 아무런 혜택조차 받지 못한다는 가슴 아픈 사실들을 언론을 통해 수차례 보도된 바 있었죠. 게다가 지난 2년 이상.. 코로나19 때분에 배달 서비스 업무가 폭증했습니다. 사고율도 덩달아 높아졌고요. 그래서 결국, 지난 2022년 1월 1일부터 퀵서비스, 대리운전기사도 고용보험에 가입할 수 있게 법이 개정되었습니다. ※이 보험은 '특수형태 근로종사자' 고용보험(플랫폼 노무제공자)에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적용대상 *퀵서비스를 .. 생활의 지혜/각종 생활정보 2023. 1. 12. 더보기 ››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9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