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한 IT 지식1052

빗썸 출금주소 등록하기 진짜 번거롭다

최근 가상화폐 시장의 상태가 정말 좋지 않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전혀~ 생각지도 못했던 일이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바로 메이저 코인의 몰락입니다. 그 유명한 '라이트 코인'의 경우는 빗썸과 업비트에서 거래지원이 종료된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있더라구요.(2022년 6월 상폐) 저도 라이트 코인에 소액 투자 중이었는데.. 이렇게 될 거라곤 예상못했네요ㅠㅠ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손절하는 분들도 꽤 있으신데요. 해당 코인이 해외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면 그곳으로 이동시키면 됩니다. 가만있다가 국내거래소에서 상폐당하는 것보다는 낫습니다. 하지만 예전과 다르게 해외거래소로 이동이 상당히 까다로워졌습니다. 특히 빗썸이 심하더라구요. 이 글은 빗썸에서 출금 주소를 등록했던 제 경험담이고요~ 꼭 내용을 참고하시고 도움이 되.. 잡다한 IT 지식 2022. 11. 29.

카톡 멀티프로필 설정, 삭제하기

개인 카톡 계정은, 사진도 올리고 좋아하는 글귀를 써서 예쁘게 꾸밀 수가 있는데요. 문제는, 친구 등록을 하지 않는 사람들도 내 계정 프로필을 볼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원치 않는 사람들에게 사생활 노출 방지가 필요하다면, 별로의 프로필을 만들면 상당히 유용한데요~그게 바로 '카톡 멀티프로필'입니다. 프로필을 멀티로 사용하면, 내가 알고 있는 사람이라도 프로필을 보여주기 싫다면 멀티프로필로 바꿔둘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카톡 멀티프로필 설정 및 삭제 방법에 대한 내용이에요. 카카오톡의 실행화면입니다. 제일 밑부분 메뉴에서 친구를 터치해보면 내 계정 프로필 바로 밑에 '내 멀티프로필'이 보이실 거예요. 저는 이미 카톡 멀티프로필 1개를 만들어서 사용 중인데요. 원래 프로필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한번 보시죠.. 잡다한 IT 지식 2022. 11. 29.

아이나비 에어 돈벌기(에어캐시 적립)

내비게이션으로 돈을 벌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운전하면서 '아이나비 에어'앱을 사용하고 있다면 누구나 '에어캐시'를 적립할 수 있습니다. 쓰면 만큼 적립되는건 아니고요. 1일 50캐시까지만 적립된다는 제한이 있긴 하지만.. 이런 작은 캐시도 시간이 지나서 누적되면 절대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죠^^ 아이나비 에어캐시는 지난 2022년 7월 19일부터 서비스되고 있습니다. 지난 2022년 9월에는 추석맞이 특별 적립 이벤트도 있었고 비슷한 이벤트가 계속 진행되니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아이나비 에어앱을 실행하면 첫 화면에 목적지 검색창과 최근 갔었던 장소 목록이 보이는데요. 그 바로 밑을 보시면 '에어캐시'가 보입니다. 자동으로 이 캐시가 적립되는 건 아니고요. 운전자가 주행을 끝내고 적립하기 버튼.. 잡다한 IT 지식 2022. 11. 28.

오토캐드 stretch 객체 신축방법

오토캐드 도면의 특정 '객체'를 내가 원하는 부분까지 연장을 하고 싶다면 '신축'기능이 상당히 유용합니다. 다양한 캐드 명령어 가운데 'stretch'를 바로 그 기능을 담당하고 있지만, 사실 이게 100% 완벽하진 않더라고요. (경우에 따라서는 적용이 되지 않는 객체가 있음)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토캐드 객체 신축을 위해 stretch 명령어의 기본적인 적용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오토캐드 stretch 명령어를 설명하고자, 위와 같이 사각형 두 개가 겹쳐지고 벽돌 모양의 해치가 표시된 임의의 도면을 작성해보았습니다. 이 도면에서 큰 사각형을 자세히 보세요. 이 사각형의 세로 길이는 그대로 고정된 상태에서, 가로길이만 내 마음대로 신축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렇게 하고 싶다면.. '.. 잡다한 IT 지식 2022. 11. 28.

국토부 지적도 무료열람 페이지 2곳

국토부 지적도를 인터넷으로 무료열람을 할 수 있는 곳이 오래전에는 정부24(구 민원24)밖에 없었는데요. 현재는 네이버, 카카오 지도에서도 지적도를 쉽게 확인할 정도로 서비스가 다양해졌습니다.그만큼 지적도는 우리 일상 속에 자리 잡게 된 거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토부 지적도 무료열람 페이지 2곳(토지이음, 정부24)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1. 토지이음 페이지 '토지이음'은 국토부에서 만든 지적도 무료열람 페이지이고요. 예전에는 '토지이용 규제정보시스템'으로 불렸지만 개편되어 지금은 '토지이음'이라는 심플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토지이음 페이지 첫 화면입니다. 원하는 지적도의 주소지만 알고 있으면 쉽게 '열람'할 수 있습니다. 👉︎지적도 무료열람하기 만약, 정확한 주소를 모르면 그 주변의 주.. 잡다한 IT 지식 2022. 1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