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캐드 'BPOLY '로 객체 경계만드는 방법
오토캐드에는 면적을 구할 수 있는 명령어가 'AREA'라는 사실을 대부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경계'선이 명확한 하나의 객체일 때만 해당되는 사실이다.
기본적으로 AREA 명령어는 '꼭지점'을 찍어야 제대로 면적을 산출할 수 있는데, 다각형이 아닌 '원'이나 '타원'이라면 불가능하다.
그래서 'BPOLY'라는 명령어를 통해 객체 경계를 따로 만들어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것만 알고 있으면, 어떤 도형이든 캐드상의 면적 측정이 쉬워지니까^^
오토캐드의 'BPOLY' 명령어를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위와 같은 임의의 도형을 캐드상에 마음대로 그려보았다.
위와 같이 나누어진 상태에서, 빨간색 숫자를 표시한 저 부분의 면적을 구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당연한 이야기지만, AREA 명령어로는 구할 수 없다.
경계선이 '폴리선'과 보통의 '일반선'이 따로 이어진 경계라면 더더욱 힘들다. 그래서 'PEDIT' 명령어로 모든 경계를 폴리선으로 만들어준 다음에 이어주는 방법도 있지만, 이 방법은 조금 번거롭다~
그러나.. BPOLY 명령어를 사용하면 정말 간단하게 '경계'가 이어지는 하나의 객체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크다.
오토캐드 'BPOLY '로 객체 경계만드는 방법
오토캐드 해치 '경계선'이 없을때 해결법
복잡한 캐드 도면을 설명하고자 할때, 특정부분을 '해치'로 구분해서 표현하면 상당히 깔끔해보이기도 하고 그 부위가 어떤 부위인지 쉽게 알 수도 있다. 그런데 가끔 해치로 그려진 부분에 연
gong6587.tistory.com
실제로 BPOLY 명령을 실행하면, 위 화면처럼 '경계 작성'이라는 작은 창이 나타나는데.. 여기서 '고립영역 탐지'는 항상 체크 상태여야 하며, 객체 유형은 '폴리선' 또는 '영역'을 선택해야 한다.
'면적'을 구하고 싶다면 객체보다는 '영역'이 낫다. (사실 큰 차이는 없지만..) 설정이 끝나면, 마지막으로 제일 위에 있는 '점 선택'을 누르고 면적부분을 클릭!
실제로 내부 점을 선택해보면 경계가 '점선'으로 표시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엔터키만 누르면, 해당 영역의 경계가 하나의 객체로 변한다는 사실^^
다시 확인하고자.. 경계선을 클릭해보면, 분명히 처음에는 따로 나누어진 상태였던 것과는 다르게 하나로 연결된 객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오토캐드 BPOLY 명령어를 통한 객체화가 끝나면, 내부 면적을 구할 차례다. 여기서 부터는 정말 단순하게 AREA 명령어만 실행하고 객체 선택 옵션만 적용하면 끝이다^^ 정말 간단하지 않음?
✅캐드 해치(hatch)가 잘보이는 패턴,축척 변경하기
캐드 해치(hatch)가 잘보이는 패턴,축척 변경하기
캐드 도면을 직접 만든 사람의 입장에서는 영역 구분이 잘되도록 그렇게 그렸을지는 모르겠지만, 도면을 인쇄하려다 보면 해치(hatch)가 표시된 영역때문에 그 위에 쓰여진 텍스트나 치수가 보이
gong6587.tistory.com
캐드선을 폴리선으로 전환하는 방법
캐드를 사용하다보면 일반선(line)이 아닌 폴리선(polyline)으로 그려진 도면을 접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익숙한 사람들이라면 폴리선을 내가 원하는 부위를 짜르거나 자유자재로 편집이 가능하
gong6587.tistory.com
오토캐드 선굵기(선가중치)보이게 하는 법
캐드를 많이 사용해왔지만, 늘 궁금했던 부분이 선굵기 표시였는데 이제서야 그 이유를 알게되었다. 오토캐드상에서 표시되는 도면에서는 다른 선과 구분을 하기 위해서 선굵기(선가중치)를 적
gong6587.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