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각 가정마다 지내는 '제사'는 지방 또는 영정 사진을 제사상에 꼭 올린다. 만약 사진이 없다면, 당연히 지방을 직접 손으로 써서 지방틀 안에 넣어야 한다. (집마다 다르겠지만, 제사상에 둘 다 올리기도 함)

 

명절이 되면 유난히 '지방쓰는 방법'이라는 검색어가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이 되기도 하는데.. 명절이든 기일이든 지방 서식은 다르지 않다. 그래서 평소에 알아두면 좋다^^

 

 

이 글은 제사 지방쓰기 요령 가운데 '아버지, 어머니'에 관한 내용이다.

 

제사 지방쓰기 요령(아버지, 어머니)1

제사 지방쓰기에 사용되는 종이는 전통 '한지'나 '창호지'를 적극 추천하고 싶다. '인견지'를 가장한 'A4 용지'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런 종이는 제사가 끝나고 불에 태워보면, 그 차이를 확실히 느낄 수 있다.

 

직접 손글씨로 쓸 때는 '붓펜'이 필수다! 그냥 일반 펜을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느낌도 좋고, 정성이 들어가는 기분이다.

 

그리고 지방의 '사이즈'은, 똑바로 세웠을 때 가로 6cm 정도, 높이 22cm 정도면 딱 적당하다. (딱히 명확하게 정해진 규격은 없다.)

 

제사 지방쓰기 요령(아버지, 어머니)2

위 사진에서 왼쪽에 있는 '顯妣孺人金海金氏 神位(현비유인김해김씨 신위)'는 '어머니'에 해당되는 부분이며~ 오른쪽에 있는 '現考學生府君 神位(현고학생부군 신위)'는 '아버지'의 지방 서식이다.

 

아버지의 경우, 어머니와 다르게 '성'씨가 전혀 기입되지 않는다는 점이 확연히 다르다~ 할아버지, 할머니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단지, '현'과 '고'자 사이에 '조(祖)'자가 들어간다는 점만 다를 뿐.)

 

그런데.. 어머니의 지방을 보면 '김해김씨'라는 부분이 보이는데, 이 부분은 실제 돌아가신 분의 성씨에 맞춰서 수정을 해야 한다.

 

제사 지방쓰기 요령(아버지, 어머니)

 

 

제사 지방쓰기 요령(아버지, 어머니)3

지방쓰기 서식에 들어간 한자를 풀이해보면 아래와 같다.

 

○현(顯) : 돌아가신 분.

 

○고(考) : '아버지'를 의미~ 생전에는 부(父), 사후에는 고(考)

 

○비(妣) : '어머니'를 의미~생전에는 모(母), 사후에는 비(妣)

 

○부군(府君) : 돌아가신 아버지를 높이는 말

 

○신위(神位): 돌아가신 분의 영혼을 모신 자리

 

○학생(學生) : 영의정 같이 큰 벼슬 외에 대부분 그냥 학생을 사용~(남자에게 해당됨)

 

○유인(孺人) : 정경부인이 아닌 대부분 유인을 사용~(여자에게 해당됨)

 

제사 지방쓰기 요령(아버지, 어머니)4

제사 지방을 붓펜으로 직접 정성스럽게 작성했다면, 이제 지방을 절반으로 접는다.

 

집에 있는 '지방틀'의 구조에 따라서 조금씩 다른데, 그냥 똑바로 세울 수 있는 구조라면 이렇게 접어서 세워두면 되고~ 그게 아니라면 밥풀 등을 이용해서 뒷부분을 붙이면 된다.

 

✅지방접기와 지방쓰는법 쉽게 이해하고 써보기

 

지방접기와 지방쓰는법 쉽게 이해하고 써보기

한해 동안 '제사'를 지내는 집안들..많으시죠?^^ 명절(설날,추석)제사든 기제사에 관계없이 '지방'은 모두 동일하게 접고 동일하게 씁니다. 그런데 평소에 지방을 전혀 접어보거나 만들어보지 않

gong6587.tistory.com

✅제사 지방쓰기 요령(할머니, 할아버지)

 

제사 지방쓰기 요령(할머니, 할아버지)

돌아가신 분의 제사 당일이 아니더라도, '설날'이나 '추석'같이 연중 가장 큰 명절이 찾아오면 그 날 아침에도 제사를 지내는 경우가 많다. (예전과는 다르게 명절 제사를 지내지 않는 집도 점점

gong6587.tistory.com

✅장례식 완장은 정확한 위치는 좌?우?

 

장례식 완장은 정확한 위치는 좌?우?

몇달전..쯤에 지인의 장례식에 다녀왔던 적이 있습니다. 전국의 어느 장례식장도 마찬가지겠지만.. 사람들이 북적북적한 분위기.. 먼저 절을 올리고..부의금을 넣고 상주와 간단히 조문인사를

gong6587.tistory.com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