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각 가정마다 지내는 '제사'는 지방 또는 영정 사진을 제사상에 꼭 올린다. 만약 사진이 없다면, 당연히 지방을 직접 손으로 써서 지방틀 안에 넣어야 한다. (집마다 다르겠지만, 제사상에 둘 다 올리기도 함)
명절이 되면 유난히 '지방쓰는 방법'이라는 검색어가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이 되기도 하는데.. 명절이든 기일이든 지방 서식은 다르지 않다. 그래서 평소에 알아두면 좋다^^
이 글은 제사 지방쓰기 요령 가운데 '아버지, 어머니'에 관한 내용이다.
제사 지방쓰기에 사용되는 종이는 전통 '한지'나 '창호지'를 적극 추천하고 싶다. '인견지'를 가장한 'A4 용지'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런 종이는 제사가 끝나고 불에 태워보면, 그 차이를 확실히 느낄 수 있다.
직접 손글씨로 쓸 때는 '붓펜'이 필수다! 그냥 일반 펜을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느낌도 좋고, 정성이 들어가는 기분이다.
그리고 지방의 '사이즈'은, 똑바로 세웠을 때 가로 6cm 정도, 높이 22cm 정도면 딱 적당하다. (딱히 명확하게 정해진 규격은 없다.)
위 사진에서 왼쪽에 있는 '顯妣孺人金海金氏 神位(현비유인김해김씨 신위)'는 '어머니'에 해당되는 부분이며~ 오른쪽에 있는 '現考學生府君 神位(현고학생부군 신위)'는 '아버지'의 지방 서식이다.
아버지의 경우, 어머니와 다르게 '성'씨가 전혀 기입되지 않는다는 점이 확연히 다르다~ 할아버지, 할머니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단지, '현'과 '고'자 사이에 '조(祖)'자가 들어간다는 점만 다를 뿐.)
그런데.. 어머니의 지방을 보면 '김해김씨'라는 부분이 보이는데, 이 부분은 실제 돌아가신 분의 성씨에 맞춰서 수정을 해야 한다.
제사 지방쓰기 요령(아버지, 어머니)
지방쓰기 서식에 들어간 한자를 풀이해보면 아래와 같다.
○현(顯) : 돌아가신 분.
○고(考) : '아버지'를 의미~ 생전에는 부(父), 사후에는 고(考)
○비(妣) : '어머니'를 의미~생전에는 모(母), 사후에는 비(妣)
○부군(府君) : 돌아가신 아버지를 높이는 말
○신위(神位): 돌아가신 분의 영혼을 모신 자리
○학생(學生) : 영의정 같이 큰 벼슬 외에 대부분 그냥 학생을 사용~(남자에게 해당됨)
○유인(孺人) : 정경부인이 아닌 대부분 유인을 사용~(여자에게 해당됨)
제사 지방을 붓펜으로 직접 정성스럽게 작성했다면, 이제 지방을 절반으로 접는다.
집에 있는 '지방틀'의 구조에 따라서 조금씩 다른데, 그냥 똑바로 세울 수 있는 구조라면 이렇게 접어서 세워두면 되고~ 그게 아니라면 밥풀 등을 이용해서 뒷부분을 붙이면 된다.